'22년 골프장 농약사용량 조사 결과

(총괄) 농약 사용은 227.3톤으로 ’22년(208.2톤) 대비 9.17%(19.1톤) 증가

골프장 수 증가(‘22년 555개 → ‘23년 568개, 2.34%↑), 단위면적당 농약사용량 증가(‘22년 6.84 kg/ha → ‘23년 7.23 kg/ha, 5.70%↑)

 

<전년('22년) 대비 농약 사용량 비교>

전년 대비 골프장 농약사용 비교 : 구분, 17년, 18년, 증감율을 표시
구 분 '22년 '23년

전년대비 증감율

골프장 농약 총사용량(성분량 기준) 208.2톤 227.3톤 9.17%↑
단위면적당 농약 사용량 6.84 kg/ha 7.23 kg/ha 5.70%↑

 

(농약 품목별 사용량) 클로로탈로닐 액상수화제(18.9톤, 8.33%, 살균제), 페니트로티온 유제(11.7톤, 5.15%, 살충제), 이프로디온 수화제(9.69톤, 4.26%, 살균제) 등 순으로 많이 사용

*‘23년부터 품목 구분시 제형까지 고려

 

<농약 품목별 사용순위>

농약품목 별 사용순위 : 순위, 품목명, 용도, 인축독성, 사용량, 사용비중을 표시
순위 품목 명 용도 인축독성 사용량(톤) 사용비중(%)
1

클로로탈로닐 액상수화제

살균제 저독성 18.9 8.33
2

페니트로티온 유제

살충제 저독성 11.7 5.15
3

이프로디온 수화제

살균제 저독성 9.69 4.26
4 클로로탈로닐 수화제 살균제 저독성 9.22 4.06
5

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

살균제 저독성 8.73 3.84
(사용농약 품목수) 388개*로 ‘22년(437개**) 대비 49개(11.2%↓) 감소

* 살균제(177개) > 살충제(110개) > 제초제(84개) > 생장조정제(7개) > 기타(7개) > 균충제(3개)

* ‘23년부터 달라진 품목수 산정법에 따라 재산정한 품목수

(품목별 사용빈도) 페니트로티온 유제(362건, 2.02%, 살충제), 클로로탈로닐 액상수화제(347건, 1.93%, 살균제), 피라클로스트로빈 입상수화제(337건, 1.83%, 살균제) 등 순으로 사용

 

(골프장별 사용량) 클럽72(3.52톤, 72홀), 경주신라CC(1.96톤, 36홀), 파인리즈리조트(1.95톤, 27홀), 샤인데일 골프&리조트(1.72톤, 27홀), 포레스트힐CC(1.58톤, 24홀) 등 순으로 사용량 많았음

특히 백양우리CC(0.58톤, 9홀)는 ha 당 56.6 kg의 농약을 사용하여, 단위면적당 농약 사용량이 최다

 

 

<골프장별 농약 사용량 및 단위면적당 사용량>

골프장 별 농약 사용량 : 순위, 총 사용량, 단위면적 당 사용량을 표시
순위 총 사용량(성분량) 단위면적 당 사용량(성분량)
골프장 명 사용량(톤) 골프장 명 사용량(㎏/㏊)
1 클럽72
(인천/대중제/72홀)
3.52

백양우리CC
(전남/대중제/9홀)

56.6
2 경주신라CC
(경북/회원제/36홀)
1.96

남양주CC
(경기/대중제/9홀)

52.9
3

파인리즈리조트
(강원/대중제/27홀)

1.95 샤인데일 골프&리조트
(강원/대중제/27홀)
37.9
4

샤인데일 골프&리조트
(강원/대중제/27홀)

1.72

휘슬링락CC
(강원/회원제/27홀)

34.8
5

포레스트힐CC
(경기/대중제/24홀)

1.58

더나인골프클럽
(전북/대중제/9홀)

30.4

※ 농약 미사용골프장(2개소) : 에코랜드CC(제주, 대중제, 27홀), 의령친환경골프장(경남, 대중제, 9홀)

※ ’23년 휴?폐장으로 인한 미운영(5개소) : 공군원주체력단련장(구)(체력단련장, 강원), 나주부영CC(대중제, 전남), 어등산CC(회원제, 전남), 엘리시안 강촌 대중골프장(대중제, 강원), 골든베이 골프&리조트(회원제, 충남)

골프장 농약잔류량 검사 결과 

(총괄) 568개 골프장 중 527개소(92.8%)에서 잔디·수목용 농약 1건 이상 검출

※ ’22년에는 555개 골프장 중 525개소(94.6%)에서 1건 이상의 농약 검출

결과 

 (검출항목) 조사항목 27종 중 20종이 토양(17종) 또는 수질(18종)에서 1건 이상 검출, 7종은 불검출
 (검출건수) 전체 조사건수(토양 147,542건, 수질 77,957건) 중 검출건수는 토양 4,487건(검출률 3.04%), 수질 3,063건(검출률 3.93%)
(주요 검출 항목) 전체 검출건수 중 티플루자마이드(31.5%, 살균제, 사용빈도 6위), 테부코나졸(23.9%, 살균제, 사용빈도 2위), 아족시스트로빈(18.9%, 살균제, 사용빈도 1위), 플루톨라닐(12.6%, 살균제, 사용빈도 14위)의 검출건수가 86.8% 차지

 

<조사 매체별 잔류농약 검출 현황>

골프장 농약잔류량 검사 결과 : 조사매체, 시료채취 위치, 검출 건수, 검출 품목을 표시
조사매체 시료채취 위치 검출 건수(건) 검출률(%) 검출 성분(종)
토 양 소 계 4,487 3.04 17
그린 / 페어웨이 2,143/ 2,344 2.90/ 3.18 17/ 17
수 질 소 계 3,063 3.93 18
유출구 / 연못 1,102/ 1,961 3.82/ 3.99 17/ 17

'23년 골프장 농약 사용량?잔류량 주요 그래픽 정보

(농약 사용량) 총 227.3톤(성분량) 사용, ‘22년(208.2톤) 대비 9.17%(19.1톤) 증가

(골프장 수) ‘22년 대비 13개(2.34%) 증가(‘22년 555개 → ‘23년 568개)

 

              <연도별 골프장 수 및 농약사용량>

 

     

(품목별 농약 사용량) 클로로탈로닐 액상수화제(18.9톤, 8.33%, 살균제), 페니트로티온 유제(11.7톤, 5.15%, 살충제), 이프로디온 수화제(9.69톤, 4.26%, 살균제) 등 순으로 많이 사용

 

        < 품목별 농약사용량 >

 

 

 

(골프장별 농약 사용량) 클럽72(3.52톤, 인천, 72홀), 경주신라CC(1.96톤, 경북, 36홀), 파인리즈리조트(1.95톤, 강원, 27홀), 샤인데일 골프&리조트(1.72톤, 강원, 27홀), 포레스트힐CC(1.58톤, 경기, 24홀) 순

          

      < 골프장 농약 사용량 분포도 >

 

 

(단위면적당 농약사용량) 백양우리CC(56.6 kg/ha, 전남, 9홀), 남양주CC(52.9 kg/ha, 경기, 9홀), 샤인데일 골프&리조트(37.9 kg/ha, 강원, 27홀), 휘슬링락CC(34.8 kg/ha, 강원, 27홀), 더나인골프클럽(30.4 kg/ha, 전북, 9홀) 순

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< 골프장 단위면적 당 농약사용량 분포도 >

'23년 골프장 농약 잔류량 검사 결과

(검출항목) 대상 항목 27종 중 20종(토양 17종, 수질 18종) 검출

전체 검출건수(100%) 중 티플루자마이드(31.5%)가 가장 빈번히 검출, 다음으로 테부코나졸(23.9%), 아족시스트로빈(18.9%), 플루톨라닐(12.6%) 순

 

       <전체 검출건수 중 항목별 검출빈도>

 

 

(검출건수) 전체 조사건수(토양 147,542건, 수질 77,957건) 중 검출건수는 토양 4,487건(검출률 3.04%), 수질 3,063건(검출률 3.93%)

(검출률) 토양(그린) 2.90%, 토양(페어웨이) 3.18%, 수질(유출구) 3.82%, 수질(연못) 3.99%

골프장 농약잔류량 검사 결과 : 조사매체, 시료채취 위치, 검출 건수, 검출 품목을 표시
조사매체 시료채취 위치 검출 건수(건) 검출률(%) 검출 성분(종)
토 양 소 계 4,487 3.04 17
그린 / 페어웨이 2,143/ 2,344 2.90/ 3.18 17/ 17
수 질 소 계 3,063 3.93 18
유출구 / 연못 1,102/ 1,961 3.82/ 3.99 17/ 17

관련문의 : 김록영 연구사 (032-560-790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