연도별 | ‘04 | ‘05 | ‘06 | ‘07 | ‘08 | ‘09 | ‘10 | ‘11 | ‘12 | ‘13 | ‘14 | ‘15 | ‘16 | ‘17 | ‘18 | ‘19 | ‘20 | '21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골프장수 | 198 | 222 | 279 | 314 | 340 | 363 | 396 | 421 | 448 | 482 | 503 | 507 | 522 | 526 | 528 | 539 | 541 | 545 |
증가율(%) | 10.6 | 12.2 | 25.7 | 12.5 | 8.3 | 6.8 | 9.1 | 6.3 | 6.4 | 7.6 | 4.4 | 0.8 | 3.0 | 0.8 | 0.38 | 2.08 | 0.37 | 0.74 |
구분 | 계 | 서울 | 부산 | 인천 | 대구 | 대전 | 광주 | 울산 | 강원 | 경기 | 경남 | 경북 | 전남 | 전북 | 충남 | 충북 | 제주 | 세종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개소 | 545 | 2 | 12 | 9 | 4 | 4 | 5 | 4 | 62 | 166 | 43 | 53 |
42 |
27 | 30 | 38 | 41 | 3 |
비율(%) | 100 | 0.37 | 2.20 | 1.65 | 0.73 | 0.73 |
0.92 |
0.73 | 11.38 | 30.46 | 7.89 | 9.72 | 7.71 | 4.95 | 5.50 | 6.97 | 7.52 | 0.55 |
※ (농약 사용량) 총 213.0톤 사용, '20년(202.1톤) 대비 5.39%(10.9톤) 증가
(골프장 수) '20년 대비 0.74% 증가 ('20년 541개 → '21년 545개)
구 분 | 골프장수 | 골프장면적 (천ha) |
농약사용면적 (천ha) |
농약사용량 (톤, 성분량기준) |
ha당 사용량 (㎞/ha) |
사용 품목수 |
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'21년 | 545 | (△0.74%) | 50.7 | (△0.40%) | 29.68 | (△0.54%) | 213.0 | (△5.39%) | 7.18 | (△4.81%) | 294 |
'20년 | 541 | (△0.37%) | 50.5 | (▽2.32%) | 29.52 | (▽5.90%) | 202.1 | (△8.60%) | 6.85 | (△15.50%) | 286 |
'19년 | 539 | (△2.08%) | 51.7 | (△5.08%) | 31.37 | (△6.84%) | 186.1 | (△9.41%) | 5.93 | (△2.41%) | 295 |
'18년 | 528 | (△0.38%) | 49.2 | (△1.86%) | 29.35 | (△1.13%) | 170.1 | (△10.67%) | 5.79 | (△9.24%) | 292 |
'17년 | 526 | (△0.8%) | 48.3 | (△1.4%) | 29.03 | (△0.72%) | 153.7 | (▽10.6%) | 5.30 | (▽11.3%) | 293 |
'16년 | 522 | (△3.0%) | 47.6 | (△1.5%) | 28.2 | (△1.1%) | 171.9 | (△10.7%) | 5.97 | (△9.5%) | 264 |
'15년 | 507 | (△0.8%) | 46.9 | (△1.1%) | 28.5 | (△1.1%) | 155.3 | (▽2.5%) | 5.45 | (▽3.4%) | 261 |
'14년 | 503 | (△4.4%) | 46.4 | (△5.2%) | 28.2 | (△4.9%) | 159.3 | (△7.6%) | 5.65 | (△2.6%) | 250 |
'13년 | 482 | (△7.6%) | 44.1 | (△9.4%) | 26.9 | (△8.9%) | 148.0 | (△17.6%) | 5.50 | (△7.8%) | 259 |
'12년 | 448 | (△6.4%) | 40.3 | (△6.3%) | 24.7 | (△4.2%) | 125.8 | (△6.1%) | 5.10 | (△1.8%) | 232 |
'11년 | 421 | (△6.3%) | 37.9 | (△5.6%) | 23.7 | (△5.3%) | 118.6 | (△2.4%) | 5.01 | (▽2.7%) | 218 |
'10년 | 396 | (△9.1%) | 35.9 | (△9.5%) | 22.5 | (△0.9%) | 115.8 | (△5.2%) | 5.15 | (△4.5%) | 229 |
※ '21년도 사용량 입력 골프장을 대상으로 함
구 분 | 살균제 | 살충제 | 제초제 | 생장조정제 | 기타 | 균충제 | 합계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품목(수) | '21년 | 130 | 84 | 64 | 6 | 8 | 2 | 294 |
'20년 | 126 | 76 | 69 | 7 | 7 | 1 | 286 | |
'19년 | 129 | 83 | 69 | 5 | 6 | 3 | 295 | |
'18년 | 123 | 84 | 69 | 7 | 5 | 4 | 292 | |
'17년 | 129 | 79 | 70 | 9 | 6 | 0 | 293 | |
'16년 | 116 | 68 | 67 | 6 | 5 | 2 | 264 | |
'15년 | 113 | 71 | 66 | 4 | 5 | 2 | 261 | |
실제 사용량(kg) |
'21년 | 468,581 | 159,392 | 86,573 | 5,395 | 8,898 | 320 | 729,159 |
'20년 | 431,900 | 155,672 | 84,116 | 3,756 | 9,865 | 243 | 685,552 | |
'19년 | 397,326 | 153,710 | 79,614 | 2,682 | 8,817 | 274 | 642,423 | |
'18년 | 349,846 | 155,811 | 74,888 | 2,431 | 6,598 | 139 | 589,713 | |
'17년 | 306,686 | 178,250 | 84,110 | 6,333 | 10,470 | 0 | 587,393 | |
'16년 | 324,647 | 169,962 | 78,082 | 1,630 | 11,033 | 17.1 | 585,371 | |
'15년 | 273,000 | 169,583 | 73,106 | 1,269 | 12,681 | 337 | 529,976 | |
농약 성분량(kg) |
'21년 | 148,102 | 31,694 | 28,566 | 579 | 4,053 | 52 | 213,046 |
'20년 | 133,993 | 30,657 | 26,777 | 431 | 4,234 | 5.6 | 202,098 | |
'19년 | 125,813 | 31,331 | 24,788 | 277 | 3,844 | 33 | 186,086 | |
'18년 | 112,035 | 32,182 | 22,730 | 304 | 2,862 | 22 | 170,135 | |
'17년 | 101,253 | 27,402 | 26,379 | 312 | 3,784 | 0 | 153,718 | |
'16년 | 105,349 | 36,300 | 25,524 | 216 | 4,551 | 1.46 | 171,941 | |
'15년 | 88,656 | 35,479 | 24,997 | 181 | 5,980 | 16.85 | 155,311 |
※ 살균제의 품목수, 실제 사용량, 농약 성분량이 가장 높음
'20년 대비 품목수는 8개 증가하였고, 농약 성분량 및 실제 사용량도 증가
순위 | 품목명 | 사용량(성분량기준) | 용도 | |
---|---|---|---|---|
(ton) | (%) | |||
1 | 클로로탈로닐 | 18.06 | 8.54 | 살균제 |
2 | 티오파네이트메틸 | 12.16 | 5.75 | 살균제 |
3 | 페니트로티온 | 11.26 | 5.32 | 살충제 |
4 | 이프로디온 | 11.05 | 5.22 | 살균제 |
5 | 플루톨라닐 | 8.86 | 4.19 | 살균제 |
6 | 클로르피리포스메틸 | 8.07 | 3.82 | 살충제 |
7 | 테부코나졸 | 7.95 | 3.76 | 살균제 |
8 | 포세틸알루미늄 | 7.69 | 3.63 | 살균제 |
9 | 아족시스트로빈, 테부코나졸 | 5.85 | 2.77 | 살균제 |
10 | 만코제브, 메탈락실 | 5.77 | 2.73 | 살균제 |
순위 | 골프장명 | 형태 | 홀수 | 주소 | 성분량(kg/ha)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최대 | 1 | 오시아노 | 대중제 | 9 | 전남 | 45.91 |
2 | 메이플비치골프&리조트 | 대중제 | 18 | 강원 | 45.89 | |
3 | 파인비치 골프링크스 | 대중제 | 18 | 전남 | 44.95 | |
4 | 포도컨트리클럽 | 대중제 | 27 | 경북 | 41.48 | |
5 | 오너스골프클럽 | 대중제 | 18 | 강원 | 33.62 | |
최소 | 1 | 엘리시안 강촌 대중골프장 | 대중제 | 10 | 강원 | 0.42 |
2 | 시그너스CC | 대중제 | 27 | 충북 | 0.54 | |
3 | 오크밸리CC | 회원제 | 36 | 강원 | 0.88 | |
4 | 레이크힐스 제주CC | 회원제 | 27 | 제주 | 0.90 | |
5 | 천룡골프장 | 회원제 | 27 | 충북 | 0.96 |
구 분 | '13년 | '14년 | '15년 | '16년 | '17년 | '18년 | '19년 | '20년 | '21년 | 비 고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농약잔류량 검출 골프장수 | 312 | 228 | 315 | 440 | 424 | 444 | 443 | 487 | 522 | '20년 대비 개소 35개소 증가 | |
잔류농약 검출 성분수 |
계 | 15 | 16 | 16 | 17 | 19 | 15 | 18 | 19 | 20 |
Acephate, Azoxystrobin, Carbendazim, Chlorpyrifos, Diazinon, Dichlobenil, Diniconazole, Fenitrothion, Flutolanil, Iprodione, Oxine-copper, Propamocarb-hydrochloride, Pyrimethanil, Tebuconazole, Thifluzamide, Thiophanate-methyl, Trifloxystrobin, Triflumizole, Thiram |
고독성 | - | - | - | - | - | - | - | - | - | ||
일반(저)독성 | 15 | 16 | 16 | 17 | 19 | 15 | 18 | 19 | 20 | ||
고독성농약 검출 골프장수 | - | - | - | - | - | - | - | - | - | - |
구분 | 토양 | 수질 | 합계 | 용도 | 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그린 | 페어웨이 | 유출구 | 연못 | |||
합 계 | 2,238 | 2,317 | 861 | 1,682 | 7,098 | |
티플루자마이드(Thifluzamide) | 426 | 814 | 206 | 394 | 1,840 | 살균 |
테부코나졸(Tebuconazole) | 631 | 458 | 245 | 449 | 1,783 | 살균 |
아족시스트로빈(Azoxystrobin) | 504 | 370 | 113 | 246 |
1,233 |
살균 |
플루톨라닐(Flutolanil) |
256 | 304 | 171 | 342 | 1,073 | 살균 |
카벤다짐(Carbendazim) | 152 | 138 | 48 | 120 | 458 | 살균 |
이프로디온(Iprodione) |
94 | 82 | 21 | 25 | 222 | 살균 |
페니트로티온(Fenitrothion) |
25 | 29 | 17 | 30 | 101 | 살충 |
아세페이트(Acephate) | 29 | 41 | 0 | 1 | 71 | 살충 |
다이아지논(Diazinon) |
38 | 8 | 6 | 5 | 57 | 살충 |
클로르피리포스(Chlorpyrifos) | 10 | 14 | 5 | 13 | 42 | 살충 |
티오파네이트메틸 (Thiophanate-methyl) |
13 | 6 | 5 | 17 | 41 | 살균 |
피리메타닐(Pyrimethanil) |
23 | 13 | 0 | 2 | 38 | 살균 |
트리플루미졸(Triflumizole) |
5 | 7 | 10 | 12 | 34 | 살균 |
트리플록시스트로빈 (Trifloxystrobin) | 9 | 10 | 4 | 5 | 28 | 살균 |
프로파모카브-하이드로클로라이드 (Propamocarb-hydrochloride) |
7 | 3 | 7 | 8 | 25 | 살균 |
티람(Thiram) | 9 | 14 | 0 | 1 | 24 | 살균 |
카두사포스(Cadusafos) | 3 | 3 | 1 | 2 | 9 | 살충 |
디클로베닐(Dichlobenil) | 1 | 1 | 0 | 7 | 9 | 제초 |
디니코나졸(Diniconazole) | 3 | 0 | 2 | 3 | 8 | 살충 |
옥신코퍼(Oxine-copper) | 0 | 2 | 0 | 0 | 2 | 살균 |
'05, '10년에 포스팜과 메티다티온 검출됨
구분 | '03년 | '04년 | '05년 | '06년 | '07년 | '08년 | '09년 | '10년 | '11-'20년 | '21년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검출수 | (2) | (4) | 1, (1) | (2) | (1) | 0 | 0 | 1 | 0 | 0 |
품목 | (지오릭스) | (지오릭스) | 포스팜, (엔도설판) | (엔도설판,모노크로토포스) | (엔도설판) | - | - | 메티다티온 | - | - |
골프장 | (알프스, 통도) | (울산,알프스, 통도,동부산) | 에딘버러, (렉스필드,태광) | (중원, 은마) | (은마) | - | - | 인천국제 | - | - |
※ ( ) : 고독성 농약을 사전승인 후 사용한 경우 (「물환경보전법」제61조)
관할 행정기관의 장이 불가피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고독성 농약 사용 가능
품목명 | 계통 | 용도 | 독성 | 상품명 (골프장사용상품명) |
---|---|---|---|---|
Thifluzamide | 아닐라이드계 | 살균제 |
저독성(어독성Ⅲ급) |
성보굿모닝 균행용사 리드오프 블루선더 |
Tebuconazole | 트리아졸계 | 살균제 |
저독성(어독성Ⅲ급) |
더블센서 고속탄 |
Azoxystrobin |
스트로빌루린계 | 살균제 |
저독성(어독성Ⅲ급) |
세이브팜 아족시졸 |
Flutolanil |
아닐라이드계 |
살균제 |
저독성(어독성Ⅱ급) |
뉴그린 녹색바람 몬카트 |
Carbendazim | 카바메이트계 | 살균제 |
저독성(어독성Ⅲ급) |
고추탄 |
Iprodione |
디카복시미드계 |
살균제 |
저독성(어독성Ⅰ) |
균사리 균프로 다스린 |
Fenitrothion | 유기인계 | 살충제 |
보통독성(어독성Ⅲ급) 저독성(어독성Ⅲ급) |
새메프 |
Acephate | 유기인계 | 살충제 | 저독성(어독성Ⅲ급) |
아스캡 |
Diazinon |
유기인계 | 살충 |
보통독성(어독성Ⅲ급) |
다이아톤 |
Chlorpyrifos | 유기인계 | 살충제 |
보통독성(어독성Ⅰ급) |
더스반 |
Thiophanate- methyl |
카바메이트계 | 살균제 |
저독성(어독성Ⅲ급) |
골든벨 균마름 옹골진 백작 가지란 다스린 과채탄 균마름 균지기 동방지오판 삼공지오판 아리지오판 지오판 지오판엠 톱신엠 톱신페스트 팜한농지오판 하이지오판 |
Pyrimethanil | 아닐리노피리미딘계 | 살균제 | 저독성(어독성Ⅲ급) | 금모리 |
Triflumizole | 트리아졸계 | 살균제 |
- |
- |
Trifloxystrobin | 스트로빌루린계 | 살균제 | 보통독성(어독성Ⅰ급) 저독성(어독성Ⅰ급) 저독성(어독성Ⅱ급) |
인터페이스 찬찬 에이플 퍼펙쉴드 프린트 트리플캡 듬지칸 |
Propamocarb-hydrochloride | 카바메이트계 | 살균제 | 보통독성(어독성Ⅰ급) 저독성(어독성Ⅲ급) 저독성(어독성Ⅰ급) |
볼레로 |
Thiram | 디치오카바메이트계 | 살균제 | 저독성(어독성Ⅰ급) | 참조네 |
Cadusafos | 유기인계 | 살충제 | 저독성(어독성Ⅱ급) |
럭비 |
Dichlobenil | 니트릴계 | 제초제 |
저독성(어독성Ⅲ급) |
카소론 |
Diniconazole | 트리아졸계 | 살균제 |
저독성(어독성Ⅲ급) |
빈나리 |
Oxine-copper | 유기동제 | 살균제 |
- |
- |
품목명 | 토양 | 수질 | 농진청¹ | 일본2,3 | 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그린 | 페어웨이 | 유출구 | 연못 |
잠정잔류 허용기준 (mg/L) |
지침값 (mg/L) |
|
티플루자마이드(Thifluzamide) | 불검출~29.71 | 불검출~4.40 | 불검출~0.0400 | 불검출~0.0275 | - | 0.37³ |
테부코나졸(Tebuconazole) | 불검출~1.10 | 불검출~1.62 | 불검출~0.0226 | 불검출~0.1165 | 0.08 | 0.77³ |
아족시스트로빈(Azoxystrobin) | 불검출~1.38 | 불검출~0.96 | 불검출~0.0862 | 불검출~0.0832 | 0.06 | 4.7³ |
플루톨라닐(Flutolanil) | 불검출~5.00 | 불검출~1.62 | 불검출~0.0326 | 불검출~0.0824 | 0.1 | 2.3³ |
카벤다짐(Carbendazim) | 불검출~0.50 | 불검출~0.66 | 불검출~0.0187 | 불검출~0.0883 | 0.08 | - |
이프로디온(Iprodione) | 불검출~0.11 | 불검출~0.56 | 불검출~0.0040 | 불검출~0.0141 | 0.1 | 3² |
페니트로티온(Fenitrothion) | 불검출~0.76 | 불검출~0.77 | 불검출~0.0050 | 불검출~0.0154 | 0.01 | 0.13³ |
아세페이트(Acephate) | 불검출~0.12 | 불검출~0.21 | 불검출 | 불검출~0.0006 | 0.08 | - |
다이아지논(Diazinon) | 불검출~0.26 | 불검출~0.06 | 불검출~0.0038 | 불검출~0.0034 | 0.0006 | 0.05² |
클로르피리포스(Chlorpyrifos) | 불검출~0.59 | 불검출~0.60 | 불검출~0.0012 | 불검출~0.0126 | 0.03 | 0.02³ |
티오파네이트메틸(Thiophanate-methyl) | 불검출~0.10 | 불검출~0.28 | 불검출~0.0094 | 불검출~0.0390 | 0.1 | 3² |
피리메타닐(Pyrimethanil) | 불검출~0.06 | 불검출~0.22 | 불검출 | 불검출~0.0007 | 0.1 | - |
트리플루미졸(Triflumizole) | 불검출~0.05 | 불검출~0.16 | 불검출~0.0034 | 불검출~0.0061 | 0.1 | 0.39³ |
트리플록시스트로빈(Trifloxystrobin) | 불검출~0.02 | 불검출~0.02 | 불검출~0.0018 | 불검출~0.0019 | 0.1 | - |
프로파모카브하이드로클로라이드 (Propamocarb-hydrochloride) |
불검출~0.03 | 불검출~0.02 | 불검출~0.0037 | 불검출~0.0027 | 0.1 | 7.7³ |
티람(Thiram) |
불검출~0.02 | 불검출~0.02 | 불검출 | 불검출~0.0071 | - | 0.2² |
카두사포스(Cadusafos) |
불검출~0.08 | 불검출~0.10 | 불검출~0.0010 | 불검출~0.0010 | 0.001 | - |
디클로베닐(Dichlobenil) |
불검출~0.01 | 불검출~0.01 | 불검출 |
불검출~0.0003 |
- | - |
디니코나졸(Diniconazole) |
불검출~0.01 | 불검출 | 불검출~0.0014 | 불검출~0.0029 | 0.006 | - |
옥신코퍼(Oxine-copper) |
불검출 | 불검출~0.01 | 불검출 | 불검출 | - | - |
1) 농촌진흥청(2022). 「농약 원제의 등록기준 」 (농촌진흥청고시 제2022-23호) [별표 6의3] 수질 중 농약의 잠정잔류허용기준
2) 일본 환경성(2020). 「골프장에서 사용하는 농약에 의한 수질오탁의 방지 및 수역 생활환경동식물의 피해방지에 따른 지도지침」 (별표) 농약별 수질오탁 지도 지침값
3) 일본 환경성 홈페이지(2021) 「수질오탁에 관한 농약 등록기준」 기준값의 10배*에 해당하는 값
* 지도 지침값이 없는 농약이라도 수질오탁기준이 있는 경우, 기준치의 10배가 지도 지침값이 됨
관련문의 : 박상민 연구사 (032-560-7909)